반응형

 

 

 

 

유니티 에셋스토어에서 받은 모델에 베지어 커브로 움직이는 스크립트가 있었는데, 해당 스크립트를 Record기능으로 녹화를 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 Invalid AABB

- Assertion failed on expression: 'IsFinite(distanceForSort)'

- Assertion failed on expression: 'IsFinite(distanceAlongView)'

 

구글링을 해봤는데 어떤 글에서는 모델의 문제라고 하고, 어떤 글에서는 Physics 설정문제라는 글이 보였는데..

나같은 경우엔 0으로 나눗셈을 하는데서 발생하는 에러였다.

 

베지어 커브 스크립트에 변수를 Time.deltaTime으로 나누는 코드가 있었는데, Time.deltaTime을 Record로 녹화를 시작하면 값이 0이되는것같다.

그래서 Time.deltaTime을 고정값으로 따로 수정하니 해당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반응형
반응형

 

 

 

 

유니티에서는 색공간 옵션에 Gamma와 Linear가 존재한다.

Linear의 경우 사실적인 색이 표현되고, Gamma의 경우 사람의 눈에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색으로 표현이된다.

 

위 그라데이션 이미지는 사람이 보기에 Gamma가 더 자연스러워 보이지만 Linear에서 표현된 색이 진짜 그라데이션 색상이다. 하지만 사람이 볼때 Linear 그라데이션이 어색해보이는데 해당 현상은 베버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베버의 법칙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자극이 없던곳에 추가된 자극은 민감하게 느끼고(Linear의 검은부분에서 흰색으로 넘어가는 부분) 이미 자극을 받은 상태에서는 자극이 추가(Linear의 회색에서 흰색으로 넘어가는부분)되도 민감하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Linear그라데이션에서는 진짜 색인데도 불구하고 사람이 볼때에는 어색해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Linear 색에서 출력을 더 떨어뜨려서 사람이 인지할때 자연스럽게 보이게하는게 Gamma 보정이다.

이렇게 모니터에 출력될 때 Gamma 보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기존의 Linear 이미지를 저장할 때 기존 이미지의 색상보다 더 밝게하여 저장한다.(sRGB라 한다.)

 

이걸로 Linear와 Gamma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파이프라인에서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만약 Add 이펙트를 사용한다고 가정했을때 각 파이프라인에서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Gamma 파이프라인

  • Gamma 파이프라인에서는 sRGB상태에서 Add를 하게된다. 그렇게되면  겹치는 부분에서 너무 밝아져서 해당 부분의 색상 데이터가 날아가버리게된다.
  • 이런 상태에서 Gamma 보정이 들어가면 결과적으로 하얗게 뜨게되어 어색하게보인다.

※ 위 그림에서 Linear는 파이프라인을 뜻하는게 아니라, 원본 이미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Linear 파이프라인

  • Gamma 파이프라인과 다르게 sRBG 영역에서 더하지 않고 Add 연산을 하기전에 엔진에서 어둡게 샘플링을 한다음 Add처리를 한다. (Linear를 지원하는 하드웨어에서는 샘플링시에 코스트가 들어가지 않는다.)
  • 해당 결과를 sRBG로 밝게해서 저장한 뒤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게되기 때문에 Gamma 파이프라인과 다르게 자연스럽게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Add 연산을 밝게한 상태에서 연산을 하느냐 어둡게한 상태에서 연산을하느냐의 차이가 Gamma와 Linear의 차이점이다.

그래서 URP나 HDRP의 경우 컬러 스페이스의 기본설정이 Linear로 되어있고 레거시의 경우 Gamma로 되어있다.

 

왜 레거시 파이프라인에서 Gamma가 기본설정이냐면, 구형 하드웨어에서는 Linear를 지원하지 않기때문인데 Linear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조건은 다음과 같다.

 

 

 

Android

  • Graphics API : OpenGL 3.0 이상
  • Minimum API Level  : 4.3(API Level 18) 이상

 

 

iOS

  • Graphics API : Metal
  • iOS Version : 8 이상

 

 

외국의 경우 구형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곳도 있기 때문에, 구형 디바이스도 서비스 대상에 포함되어있으면 어쩔 수 없이 Gamma 파이프라인밖에 선택지가 없지만 그렇지 않으면 Linear 파이프라인으로 사용하는것이 좋다.

※ Gamma로 작업하다가 Linear로 바꾸는것이 아닌 프로젝트 초반부터 Linear로 시작해야 번거로움을 덜수있다.

 

 

 

※ 이해가 가지 않으면 다음 영상 참고

 

 

 

 

 

 

 

반응형
반응형

 

 

 

 

인벤토리 구현하는 중에 Toggle과 ToggleGroup을 사용하던 중, 인벤토리를 껐다켜면 첫번째 토글이 무조건 활성화되게 하려고 OnEnable함수에서 toggle.isOn의 값을 변경했는데, onValueChanged와 같은 콜백은 호출이 되지만 ToggleGroup이 작동을하지 않아서 첫번째 토글이 활성화되지 않았다.

찾아보니 Toggle의 OnDisable에서 ToggleGroup에 등록된 자신을 해제한다고한다. (대체 왜..?)

 

즉, 각 Toggle 컴포넌트가 비활성화되면 ToggleGroup에서 자신을 해제하고 활성화되면 재등록이 이루어지는것 같다.

(ToggleGroup에서 OnEnable함수에 m_Toggles.Count의 로그를 찍어보면 0으로 나온다.)

 

결국 ToggleGroup하고 Toggle을 상속받는 새 컴포넌트를 만들어 Toggle의 OnDisable을 override로 재정의해줘서 해결했다.

 

 

Toggle 컴포넌트

using UnityEngine.UI;

public class SlotToggle : Toggle
{
    protected override void OnDisable() { }
}

 

 

ToggleGroup 컴포넌트

using UnityEngine.UI;

public class InventoryToggleGroup : ToggleGroup
{
    protected override void OnEnable()
    {
        var toggle = GetFirstToggle();
        if (toggle != null)
        {
            toggle.isOn = true;
        }
    }

    private Toggle GetFirstToggle()
    {
	if(m_Toggles.Count <= 0)
        {
            return null;
        }
        
        Toggle toggle = m_Toggles[0];
        for(int i = 1; i < m_Toggles.Count; i++)
        {
            if(toggle.transform.GetSiblingIndex() > m_Toggles[i].transform.GetSiblingIndex())
            {
                toggle = m_Toggles[i];
            }
        }

        return toggle;
    }
    
    protected override void OnDisable()
    {
        base.OnDisable();
        for (int i = 0; i < m_Toggles.Count; i++)
        {
            m_Toggles[i].isOn = false;
        }
    }
}
  • GetSiblingIndex의 값을 비교해서 첫번째 Toggle 컴포넌트를 가져온다. (한번씩 Toggle 순서가 뒤섞이는 문제가 발생해서 함수를 추가로 작성했다. 꼭 저렇게할 필요 없이 Sort()함수를 사용해도 무관할듯하다.)
  • OnDisable()에서 게임오브젝트가 비활성화 될 때, 모든 토글의 isOn을 꺼주는 이유는 다시 활성화될 때 특정 토글의 isOn이 켜져있으면 활성화될 때 켜주고싶은 토글의 isOn이 인스펙터창에서 활성화되지 않아 Graphic의 표시가 변경되지 않는다. (OnValueChanged 콜백만 호출됨)

 

 

 

 

반응형
반응형

 

 

 

 

에셋을 받아 작업하면서 어느순간 An error occurred while resolving packages에러를 발견하게 됐다.

(해당 에러는 Terrain sample asset pack에서 발생하는걸로 확인)

처음에는 크게 신경 안써도 되는줄 알았는데 지워지지 않는 에러라서 그때 제대로 확인했다. 확인해보니 visualgraph 패키지의 버전을 찾을수 없다는 내용이어서 패키지 매니저로 들어가서 해결했다.

 

 

 

해결방법

  • Window - Package Manager 창에서 Unity Registry를 선택해서 에러가 난 패키지를 검색해준다.

  • 여기서 문제가 있는 패키지는 ✔표시 대신 ❗표시가 되어있을건데, Update를 하거나 Remove한다음 재설치를 하면 해결된다.

※ 대부분 위의 방법으로 해결이 되는거같은데, 그래도 안되면 manifast.json에 공백이 있어서 생기는 문제거나 캐시파일 문제라고 한다.

 

 

 

 

 

반응형
반응형

 

 

 

 

NavMeshAgent에 Angular Speed를 아무리 높게 줘도 회전이 늦게 일어난다. (해당 프로퍼티가 초당 회전각도로 알고있는데 아무리 수치를 높여도 회전이 느림)

위와 같이 회전이 몬스터 같은 유닛의 경우 어색할 가능성이 다분하다.

그래서 NavMeshAgent.updateRotation의 값을 false로 설정해준 뒤, 직접 각을 계산해서 넣어줘야한다.

 

 

 

공통

private NavMeshAgent m_agent;

void Start()
{
    m_agent = GetComponent<NavMeshAgent>();
    m_agent.updateRotation = false;
}

 

 

 

 

1. NavMeshAgent의 DesireVelocity값을 이용해 회전값 조정

- NavMeshAgent.DesireVelocity - 회피를 고려한 목표 속도

- Qaternion.LookRotation을 이용해서 회전값을 적용해주면 된다.

void Update()
{
    transform.rotation = Quaternion.LookRotation(m_agent.desireVelocity);
}

 

 

- 결과

그런데 한가지 문제가 있다면 커브길 주변에서 유닛이 떨리는 현상이 발견된다. (실제로 적용해보면 심각할정도로 떨린다.)

 

 

 

2. 직접 각을 계산해서 적용하기

- NavMeshAgent.steeringTarget값을 이용해 회전 값을 계산해서 적용하기

void Update()
{
    Vector2 forward = new Vector2(transform.position.z, transform.position.x);
    Vector2 steeringTarget = new Vector2(m_agent.steeringTarget.z, m_agent.steeringTarget.x);
    
    //방향을 구한 뒤, 역함수로 각을 구한다.
    Vector2 dir = steeringTarget - forward;
    float angle = Mathf.Atan2(dir.y, dir.x) * Mathf.Rad2Deg;
    
    //방향 적용
    transform.eulerAngles = Vector3.up * angle;
}

※ 3차원 공간에서는 전진 방향이 z축이니 Vector2의 x값을 transform.position.z값으로 설정한다.

※ steeringTarget : 경로상의 다음 목적지.

 

- 결과

1번과 다르게 떨리는 현상 없이 바로 회전하는것을 볼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